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서울특별시 아토피·천식 교육정보센터

Seoul Atopy Asthma Education Information Center

아나필락시스

> 아토피·천식 정보 > 아나필락시스

아나필락시스

  • 아나필락시스란?
    • 원인 물질에 노출된 후 갑작스럽게 전신적으로 중대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. 피부(두드러기, 혈관부종 등), 호흡기(호흡곤란, 천명, 기침 등), 순환기(혈압저하 등) 등의 증상이 흔하게 나타납니다. 신속하게 조치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아나필락시스의 흔한 증상들과 나타나는 빈도는 어떠한 가요?
    아나필락시스의 흔한 증상들과 나타나는 빈도에 관한 표
    장기 (빈도) 증상/징후
    피부 (80~90%) 홍조, 가려움증, 두드러기, 혈관부종, 홍역 모양 발진, 눈 주위 가려움증/홍반/부종, 결막 홍반, 입술·혀·입안의 가려움증/부종, 손바닥·발바닥·생식기의 가려움증
    호흡기 (70%) 코 가려움증, 코막힘, 콧물, 재채기, 인후통, 발성 장애, 쉰 소리, 마른 단속성 기침, 협착음 빈 호흡, 호흡곤란, 가슴 답답함, 천명, 기도 수축, 최고 호기 유속 감소, 청색증, 호흡마비
    소화기 (45%) 복통, 구역, 구토, 설사, 연하곤란
    순환기 (45%) 가슴 통증, 빈맥, 서맥, 부정맥, 두근거림, 저혈압, 실신, 요실금, 대 변실금, 쇼크
    신경 (10%) 안절부절못함, 박동성 두통, 실신, 의식저하, 현기증, 터널시야, 혼동
    기타 증상 금속성의 입맛, 여성에서 자궁수축으로 인한 경련통 및 출혈
  •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무엇인가요?
    • 일상생활에서는 식품이 가장 흔한 원인이고, 병원에서는 약물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.
      식품
      • 땅콩
      • 새우
      • 우유
      • 달걀
      • 과일
      • 메밀
      • 번데기
      곤충독
      • 개미
      약물
      • 해열진통제
      • 항생제
      • 조영제
    • 우리나라에서 흔한 아나필락시스의 원인 식품
      우리나라에서 흔한 아나필락시스의 원인 식품에 관한 표
      빈도 음식
      29.3% 메밀
      9.8% 우유
      9.8% 키위
      7.3%
      7.3% 꽃게
      각각 4.9% 번데기 / 땅콩 / 짜장면
      각각 2.4% 새우 / 율무 / 김치찌개 / 떡볶이 / 삼계탕 / 생선 / 스파게티 / 오렌지주스 / 과자 / 카레 / 햄버거

      ( 2008년 대한 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자료 )

  • 원인을 알기 위한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?
    • 자세한 병력 청취가 가장 중요합니다. 병력 청취를 통해 의심되는 물질을 선별하고 알레르기 검사 (피부 시험, 혈액검사)를 통해 이를 확인하며, 때로는 원인 물질에 대한 유발 시험을 하기도 합니다.
      • ① 자세한 병력청취

      • ② 알레르기 피부시험

        피부단자시험, 피내시험 등

      • ③ 혈액검사

        • - 트립 테이즈, 히스타민 등 아나필락시스 기전 관여 물질 검사
        • - 알레르기 원인 물질(알레르겐)에 대한 특이 IgE 혈청 검사
      • ④ 원인물질에 대한 유발시험

        유발 시험은 아나필락시스를 다시 유발할 위험성이 있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전문의 주도하에 시행

  • 아나필락시스 치료 약은 어떤 것이 있나요?
    • 가장 중요한 것은 에피네프린입니다. 그 외에 항히스타민제, 베타 2 항진제(기관지확장제), 스테로이드(항염증제)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  아나필락시스 치료약에 관한 표
      1차 약제 에피네프린 1:1,000 (1mg/ml) : 성인 0.3~0.5ml, 소아 0.01mg/kg 근육주사
      (1회 최대용량 성인 0.5mg, 소아 0.3mg)
      2차 약제 1 ) 정맥주사용 H1 항히스타민제 : Chlorpheniramine, diphenhydramine
      2 ) 베타 2 항진제 : Salbutamol 용액 네뷸라이저 요법
      3 ) 정맥주사용 스테로이드 : Hydrocortisone, methylprednisolone
      4 ) 정맥주사용 H2 항히스타민제 : Ranitidine
  • 아나필락시스 발생 시의 행동요령은 무엇인가요?
    • 아래와 같은 순서로 조치합니다.
      • ① 원인을 제거하거나 중단합니다.

      • ② 편평한 곳에 눕히고, 의식과 맥박, 호흡을 확인합니다.

      • ③ 빨리 119에 연락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.

      • ④ 에피네프린이 있으면 주사하고 시간을 기록합니다.

      • ⑤ 다리를 올려서 혈액순환을 유지합니다.

      • ⑥ 산소가 있으면 마스크로 공급합니다.

      • ⑦ 2차 반응이 올 수 있으므로 응급실로 신속하게 이송합니다.

  • 아나필락시스의 병력이 있거나 위험이 있는 환자는 ‘에피네프린 자가주사기’를 반드시 휴대해야 된다고 하는데, 어떻게 사용하나요?
    체중 30kg 이상 - 0.3mg 에피네프린, 체중 15~30kg - 0.15mg 에피네프린
    • 01 주사기 바늘이 나오는 부분을 아래로 향하게 주먹을 쥐듯이 한 손으로 잡고, 위쪽에 있는 안전캡을 다른 손으로 뽑습니다.
    • 02 엄지손가락으로 누르지 않습니다. 잘못하여 위아래가 바뀐 경우에는 주삿바늘에 찔릴 위험이 있습니다.
    • 03 주사 부위가 대퇴부(허벅지) 바깥쪽 부위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주사기를 잡습니다.
    • 04 팔을 흔들어서 대퇴부 바깥쪽에 수직 방향으로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끝으로 강하게 밀어서 넣고, 약이 제대로 들어가도록 10초 정도 이 상태를 유지합니다.
    • 05 기구를 대퇴부에서 떼고, 주사부위를 약 10초 정도 마사지합니다.
    • 06 에피네프린 사용만으로 치료가 충분치 않으므로 주사 후 반드시 가까운 병원으로 가도록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