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서울특별시 아토피·천식 교육정보센터

Seoul Atopy Asthma Education Information Center

천식

> 아토피·천식 정보 > 천식

다운로드

천식

  • 천식은 우리나라 학동기 연령 아동 10명 중 1명 정도로 흔한 알레르기 질환입니다.
    천식은 어떤 병인가요?
    •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
      • 기침
      • 가슴이 답답함
      • 숨쉬기 어려움 (호흡곤란)
      • 쌕쌕거림 (천명)
      천식의 3대증상
      • 가슴답답함

      • 기침

      • 쌕쌕거림(천명)

      • 호흡곤란과 가슴 답답함을 호소
      • 야간에 기침과 호흡곤란으로 잠을 깸
      • 천식 발작의 발생과 반복
      • 천식 발작은 가벼운 경우부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한 경우까지 다양
  • 천식은 전염될까요?
    • 천식은 유전적인 소인과 환경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폐와 기관지에 나타나는 병으로,
      기침이 나고 숨을 잘 쉴 수 없고 가슴이 답답한 질환입니다. 따라서 천식은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.
      천식 전염에 관한 표
      • 유전 : 알레르기 체질
      • 환경요인
      • 천식
      • 집먼지 진드기

      • 곰팡이

      • 꽃가루

      • 애완동물의
        비듬과 털

  • 천식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
    • 천식 증상을 나쁘게 하는 물질들은 집 먼지 진드기, 꽃가루, 애완동물 털 등으로 우리 생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
    • 담배연기, 청소를 할 때 발생하는 먼지, 헤어스프레이에서 발생하는 가스 등도 천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    • 천식이 있는 사람은 갑자기 변하는 기후 및 온도, 감기, 운동 등에 의해서도 심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천식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악화인자를 알고 회피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
  • 학교에서 천식이 있는 학생을 위한 주의사항
    • 청소나 환경미화 시 주의사항
      • - 먼지 털이, 진공청소 (예: 교실 청소)
      • - 페인트칠 (예: 교내외 페인트칠 작업 등)
      • - 살충제나 방향제 스프레이 사용 (예: 공작수업시간 등)
      • - 천식이 있는 사람이 직접 청소하는 경우 반드시 마스크 착용
    • 수업시간 주의사항
      • - 연기가 많이 발생하는 음식 조리 (예: 요리수업시간 등)
  • 체육시간 운동할 때 주의사항
    • 천식 증상이 잘 조절되면 천식 환자도 일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너무 격렬한 운동은 가능한 피하도록 합니다.
    • 만일 운동 중에 숨쉬기가 어렵거나 심한 기침이 발생하면 운동을 즉시 멈춰야 합니다. 이런 현상은 특히 날씨가 춥고 건조할 때 흔히 발생하므로
      이 경우에는 가능한 운동을 하지 않거나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모든 운동을 할 때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, 운동은 서서히 끝내면서 마무리 운동까지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  평소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에서 꾸준히 운동을 하여 내성을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운동을 하다가 언제든지 숨쉬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 완화제를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합니다. 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운동 15분 전에 증상 완화제를
      흡입하면 악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.
  • 급성 천식악화에 대한 응급 대처법
   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증상
    • 심한 기침

    • 쌕쌕거림

    • 가슴답답

    • 야간증상

    • 발작이 생긴다면 빠르게 대처
    • 증상완화제 사용
    • 악화 인자 제거
    • 증상 호전이 없으면 응급실 방문
    • ① 천천히 깊게 숨을 쉬고 최대한 편안하게 옷의 단추를 풀어줍니다.

    • ② 증상 완화제를 가볍게 3~4회 흔들고 직접 스페이서에 끼운 후

    • ③ 먼저 숨을 스페이서 밖에다 내쉬고 약물 통을 세게 누르면서 숨을 천천히 4~5회 들이마십니다. 위 과정을 연속하여 한 번 더 합니다.

    • ④ 119가 올 때까지 아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합니다.

    • ⑤ 병원 도착 후 의사에게 증상 악화가 일어났을 때의 상황, 증상이 나빠지게 된 이유, 사용한 약제의 용량과 횟수를 자세히 설명합니다.